메뉴 건너뛰기

나의 모든 것

Ansible(앤서블) 동작환경

2025.01.16 15:09

sowon 조회 수:0

앤서블 동작구조

 

여러 그림을 봤는데, 그림이 엔서블의 동작을 이해하기 가장 기본적이고 좋은 그림인거 같다.

앤서블을 동작시키기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컨트롤 노드와 관리노드가 필요하다.

컨트롤이라는 용어때문에 반감이 아주 크다. 원격(여기서 원격은 IDC내부, 네트워크로 연결된 장치가 있는 환경 내부)에서

무엇을 제어한다는 것이 악한 용도로 사용되었을때 두려움 때문인거 같다. 착하게 살고 그런 두려움은 잠시 접어두자.

 

컨트롤 노드에는 앤서블과 인벤토리가 위치한다.

인벤터리는 관리노드에 대한 접속 정보(IP, ID, PW, 접속방법 등)를 주로 저장하고 있다.

개발자들은 CMDB( configuration management database)라는 용어를 사용하더라.

Ansible은 인벤터리 정보로 관리노드에 접속하여 실제적인 작업을 동작하게 하는데, 작성된 구문에서 모듈을 활용하여 처리한다. 

 

관리노드는 처리의 대상이 되는 장치의 위치다.(관리하는 장치가 많을수록 유용할거란건 두말하면 잔소리다.)

보통 서버나 네트워크, 텔레포니, 보안 장치들이 여기에 속한다. 불대수까지 처리한다니 정밀기계까지 넘보고 싶지만,

정밀기계는 아날로그로 예상되고 네트워크 연결도 고려할거 같지 않으니, 기술적 기대의 폭이 넓지만, 일단 넣어두자.

 

앤서블 동작구조.jpg

그림 출처: https://chromato99.com/posts/Ansible-%EC%82%AC%EC%9A%A9%ED%95%B4%EB%B3%B4%EA%B8%B0/

              어떤이의 포스트

서버에 요청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